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건강 및 보건의료 지표 분석

통일의료연구센터(DPRKHEALTH.ORG) 안경수 센터장이 집필에 참여한,

[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건강 및 보건의료 지표 분석]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LINK를 참조해 주십시오.

LINK: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research/view?page=4&seq=53255

“북한은 김정은 집권 이후 기존의 사회주의 보건의료 체계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보건의료기관의 전반적인 개건현대화 및 신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의약품 부족과 열악한 병실 등의 문제를 크게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 접근성이 크게 불평등해지고 있으며, 공식적인 의료기관 이용보다 개별적 선택에 의한 의약품 오남용, 정확하지 않은 의료지식에 기반한 민간요법 활용 등을 선호하는 상황에서는 북한 주민들의 건강 문제가 쉽게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다.
현재 북한식의 보건의료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보건재정 투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북한 국가경제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사회주의 의료의 특성을 따라 이미 구축되어 있는 방대한 보건의료조직과 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운영제도의 개혁도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며 북한이 국제보건의 표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건외교적 전략이 요구된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