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kmedical-10202022095715.html
[기자] 북한 당국이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보건의료 체계를 재정비했다는 정황이 발견됐다면서요?
[안경수 센터장] 2022년 북한 보건을 관통하는 주요 단어는 단연 코로나겠죠. 5월에 코로나 (확진자) 인정을 대외적으로 했잖아요. 비상방역체계를 거치고 8월에 승리했다고 선언했잖아요. 그 일련의 과정에서 북한 당국이 자신들의 보건의료 체계에 관해 정비했다는 정황을 발견했는데요.
제가 북한 문헌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체로 2022년 8~9월 들어서 ‘도인민병원’의 명칭을 ‘도종합병원’으로 바꿔서 부르고 있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시, 군인민병원도 인민이라는 명칭을 빼고 ‘시병원’, ‘군병원’으로 바꾼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북한이 병원 명칭을 왜 바꿨을까 생각해봤는데요. 코로나라는 전대미문의 비상방역체계를 겪으면서 북한당국이 자각했다고 생각합니다. 병원 체계를 현대화하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도, 시, 군 병원을 일신시킨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원래 구조조정을 할 때 우리는 이름을 먼저 바꾸곤 하잖아요. ‘네이밍’을 바꾸는 것인데, 이것도 분명히 도, 시, 군 병원의 명칭이 달라진 거 보면 내부적으로 북한 최고지도자, 즉 김정은 총비서부터 시작한 의지가 작용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기자] ‘인민’이라는 단어를 뺀 게 어떤 의의가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북한다움을 조금 뺐다는 느낌도 드는데요.
[안경수 센터장]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인민’이라는 걸 명칭에서 빼는 게 쉽지 않습니다. 명칭을 바꾼 게 그만큼 의지가 강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북한다움을 뺀 것이 김정은 총비서부터 강조하고 있는 현대화의 느낌이죠. 남들이 볼 때 세련되게 바뀌어야 하잖아요. 세계 기준처럼 바꾼다는 게 그만큼 북한의 최고지도부 부터 이번의 코로나 과정을 겪으면서 북한의 병원, 보건의료 체계를 현대적으로 변화시키자는 의지가 더 반영됐다는 증거라고 저는 해석합니다.